지방 쓰는 법
페이지 정보
작성자
첨부파일
-
지방예문.hwp (340.5K) 72회 다운로드 DATE : 2020-04-02 13:30:40
관련링크
본문
지방(紙榜) 쓰는법
① 지방은 기제사 당일에 정성을 들여 써서 모시고, 제사가 끝나면 반드시 축과 같이 태운다.
② 지방은 깨끗한 백지(한지)를 사용하고 크기는 별도로 정하여 있지는 않으나, 보통 가로 6-8㎝ 세로 22-26㎝정도로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만든다. 위쪽을 둥글게 하고 아래를 평평하게 하는데 이것은 하늘은 둥글고, 땅은 평평 하다 하여 격식에 따른 모형이나 직사각의 백지에 써도 무방 하다.
③ 고위(考位,아버지,할아버지)는 왼편에, 비위(어머니,할머니)는 왼편에 쓰되, 비위가 두분 이상일 경우는 차 대로 쓰고 한분만 모실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.
④ 지방의 맨위는 높일현(顯)자를 쓰고 할아버지면 할아버지(祖), 증조할아버지(曾祖),
고조할아버지(高祖) 그이상 윗분이면 그 댓수 ◯대조(代祖)를 쓰고 아버지고(考)자를, 비위는 고위와 같이 현(顯)자 밑으로 그 대에 맞추어 쓰고 죽은 어미비 자를 쓴다.
⑤ 고위는 벼슬이 있는분은 대수 밑에 벼슬관작(官爵)을 쓰고, 벼슬이 안계신분은 하위 직함. 벼슬을 준비하는 공부 하는 학생(學生)으로 쓰고 끝에는 부군신위(府君神位)로 쓴다.
⑥ 비위는 고위의 벼슬 품계에 따라 다르고 고위가 학생부군 이면 대수 밑에 유인(孺人) 본관(本貫) ◯◯씨(氏) 신위(神位)로 쓴다.
⑦ 근대의 현직 공무원의 경우 사무관 이상이면 그 직급에 맞추어 쓸수있다. 예로
현고사무관부군(顯考事務官府君)신위. 현조고법무장관부군(顯祖考法務長官府君)신위
⑧ 비위도 관직이 있으면 유인 대신에 그직책이나 직급을 쓰고 본관을 쓴다. 예로
현비사무관경주김씨(顯 事務官慶州金氏) 신위
⑨ 현대의 관직, 학위, 사회직함을 쓸 경우의 예
현조고국회의원부군 신위 顯祖考國會議員府君 神位
현고문학박사부군 신위 顯考文學博士府君 神位
현고철도공사사장부군 신위 顯考鐵道公社社長府君 神位
현고삼성물산전무이사부군신위 顯考三星物産專務理事府君神位
현비숙명여자대학총장김해김씨 신위 顯 淑明女子大學總長金海金氏 神位
<출처:'나는 누구인가'>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